처음엔 의사의 처방으로 인슐린 양을 맞춰 주사하기 시작하지만 혈당이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면 인슐린 양을 얼마나 투여해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식전에 인슐린 양을 얼마나 투여 해야 하는지 인슐린 계산 방법을 알아볼 건데요. 일반적인 경우와 혈당이 높은 경우로 나누어 식전 인슐린 양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그에 앞서 계산식에 필요한 식품교환표를 먼저 알아봅시다.
목차
1. 인슐린 계산에 필요한 식품교환표 이해하기
2. 식전 혈당 잡는 인슐린 계산 방법
3. 식전 혈당이 높을 때 인슐린 양 교정하는 계상 방법
4. 마치며(저혈당 왔을 때 간단한 처치)
인슐린 계산에 필요한 식품교환표 이해하기
인슐린 계산법을 알기 위해선 식품 교환표를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식품 교환표는 6가지 식품군으로 나눈 프로써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과일군이 있습니다. 이중 저희에게 필요한 식품군은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는 곡류군, 우유군, 과일군 입니다.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은 미미한 탄수화물을 가지고 있고 혈당을 천천히 올리기 때문에 계산식에 넣지 않습니다.
식품교환표 | 1교환단위(kcal) | 탄수화물의 양(g) |
곡류군 | 100kcal | 23g |
우유군 | 125kcal | 10g |
과일군 | 50kcal | 12g |
예를 들면 곡류군의 경우 1 교환 단위당 100kcal를 먹었을 때 23g의 탄수화물을 섭취한 것으로 봅니다.
식전 혈당 잡는 인슐린 투여량 계산 방법
첫째. 식전 인슐린 양을 구하려면 3일 정도의 식사일기와 혈당 기록지를 작성해야 합니다.
기록할 사항
- 점검 시간(아침, 점심, 저녁 + 간식)
- 섭취한 음식의 종류
- 끼니마다 섭취한 탄수화물의 총량(위 식품교환표 참고)
- 인슐린 투여량과 혈당수치 기록
3일간 위의 자료를 작성하면서 식전 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이 정상 범위가 되도록 합니다.
(목표 범위! 식전 혈당: 80~130mg/dl, 식후 2시간 혈당: 180mg/dl 이하)
둘째. 기록한 식사일기와 혈당기록지를 토대로 계산식을 대입하면 인슐린 1 단위당 탄수화물 조절량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먹는 양이나 인슐린 저항성, 감수성으로 인해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색을 참고하면 이해가 좀 더 쉬울 거예요. 노란색은 한 끼 탄수화물 총량, 분홍색은 식전 인슐린 투여량, 파란색은 인슐린 1 단위당 조절가능한 탄수화물 양, 보라색은 결론, 식사 전에 필요한 인슐린의 양)
- 한 끼 탄수화물 총량(g) ÷ 식전 인슐린 투여량(Unit) = 인슐린 1 단위당 조절가능한 탄수화물 양
- (인슐린 단위: 1단위 = 1 Unit = 0.01mL)
예를 들면 한 끼 탄수화물 총량 구하는 방법은 곡물군은 100kcal당 23g 탄수화물을 섭취하므로 300kcal를 먹었다면 23x3=69g이 됩니다. (식품교환표 참고)
셋째. 위의 식을 통해 1 단위당 조절가능한 탄수화물 양을 구했다면 매 끼니마다 필요한 인슐린 양을 구할 수 있는데요.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한 끼 탄수화물의 총량(g) ÷ 인슐린 1 단위당 조절 가능한 탄수화물 양 = 식전 필요한 초속효성 인슐린의 양(Unit)
한 끼 탄수화물의 총량이 93g이라고 할 때, 인슐린 1 단위당 조절 가능한 탄수화물 양을 10이라고 가정하면 93 ÷ 10 = 9로 식전 필요한 초속효성 인슐린 양 9가 나옵니다. (소수점은 반올림)
식전 필요한 초속효성 인슐린의 양이 식사 전에 투여할 인슐린의 양입니다.
식전 혈당이 높을 때 인슐린 양 교정하는 계산 방법
혈당이 높을 때 조절하기 위해선 인슐린을 투여합니다. 식전 혈당이 높지 않다면 앞에서 소개한 식 전 계산법으로 투여량을 결정하면 되지만 식전 혈당이 높다면 투여량이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알아볼 것은 인슐린 감수성 지수와 교정 인슐린 구하는 방법입니다. 천천히 따라오세요.
첫째. 인슐린 감수성 구하는 공식
인슐린 감수성은 1 단위당 혈당을 얼마나 낮출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하면 인슐린이 혈당 조절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가 입니다.
인슐린 감수성 공식에는 초속효성 인슐린 감수성 구하는 공식과 속효성 인슐린 감수성 구하는 공식이 따로 있습니다. 일명 1800법칙과 1500법칙인데요. 각 인슐린마다 공식이 다르니 참고해 주세요. (색 구분! 주황색인슐린 감수성 지수)
1800법칙 초속효성 인슐린 감수성 구하는 공식
- 1800 ÷ 하루동안 맞은 총 인슐린 양 = 인슐린 감수성 지수(초속효성)
1500법칙 속효성 인슐린 감수성 구하는 공식
- 1500 ÷ 하루동안 맞은 총 인슐린 양 = 인슐린 감수성 지수(속효성)
1800의 고정값과 하루 동안 맞은 총 인슐린 양이 45라고 가정했을 때 1800 ÷ 45 = 40mg/dl이 나오게 됩니다. 풀이하면 초속효성 인슐린 1 단위당 40mg/dl의 혈당을 낮춘다는 것입니다.
둘째. 교정 인슐린 구하는 공식
교정 인슐린 구하는 공식에는 시전 측정 혈당과 목표 혈당, 인슐린 감수성 지수가 필요합니다.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편의를 위한 색구분! 노란색은 식전 측정 혈당, 분홍색은 목표 혈당, 주황색 인슐린 감수성 지수, 파란색은 교정 인슐린)
- (식전 측정 혈당 - 목표 혈당) ÷ 인슐린 감수성 지수 = 교정 인슐린
식전 측정 혈당을 200mg/dl으로 한다면, 목표 혈당을 120mg/dl으로 하고 인슐린 감수성 지수를 40으로 가정했을 때 식은 (200 - 120) ÷ 40 = 2 단위(Unit) (목표 범위! 식전 혈당: 80~130mg/dl, 식후 2시간 혈당: 180mg/dl 이하)
셋째. 식전 혈당이 높을 때 인슐린 양 계산식
2번째 목차인 식전 혈당 잡는 인슐린 투여량 계산법의 3번째 챕터에서 구했던 식전 필요한 초속효성 인슐린의 양과 교정 인슐린을 더하여(+) 높아진 식전 혈당을 잡을 수 있는 인슐린 투여량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식전 필요한 초속효성 인슐린의 양(Unit) + 교정 인슐린 = 높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양
식전 필요한 초속효성 인슐린 양 9(Unti)로 가정, 교정 인슐린을 2(Unit)로 가정 9 + 2 = 11로 식전에 맞아야 하는 인슐린량은 11Unit가 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영양실 김미라선생님의 자료를 참고했습니다.(링크)
마치며(저혈당 왔을 때 간단한 처치)
인슐린 양을 잘못 계산하여 투여하면 저혈당이나 심하면 저혈당 쇼크가 올 수 있습니다. 무기력 증상, 가슴 두근거림, 공복감, 두통, 불안, 흥분 등의 증상이 있을 시에는 우선 혈당을 체크하고 80mg/dl 이하일 경우 순수 당물질 사탕, 설탕물, 꿀물 등을 드시고 최대한 가만히 있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인슐린 투여량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계산식이 헷갈릴 수 있으니 천천히 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인슐린은 어디까지나 보조역할일 뿐!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을 통해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그날까지 다같이 힘내봅시다.
감사합니다!!
궁금한 것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2023.08.01 - [질병 코너/당뇨병] - 인슐린/사용법과 주사 방법 주사 통증 줄이 법
인슐린/사용법과 주사 방법 주사 통증 줄이 법
인슐린의 올바른 사용법과 주사 방법을 알면 2차 감염 예방과 제시간에 적절한 주사로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병 인슐린, 펜(스틱) 형 인슐린, 펌프를 어떻게 사용하
lee-health717.tistory.com
2023.07.30 - [질병 코너/당뇨병] - 인슐린의 종류와 특성 초/속효성 중간형 지속형
인슐린의 종류와 특성 초/속효성 중간형 지속형
당뇨! 하시면 생각나는 "인슐린" 오늘은 인슐린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전에 인슐린이 우리 몸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야겠죠? 간단하게 정리해서 알아보고 인슐린
lee-health717.tistory.com
'질병 코너 > 당뇨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C펩타이드의 정의와 수치에 따른 해석 (4) | 2023.08.08 |
---|---|
당뇨 전단계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애 (5) | 2023.08.06 |
인슐린(Insulin) 검사란? (6) | 2023.08.02 |
인슐린/사용법과 주사 방법 주사 통증 줄이 법 (0) | 2023.08.01 |
인슐린의 종류와 특성 초/속효성 중간형 지속형 (0) | 2023.07.30 |